아래 내용은 7-9 교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.
---
Merchandise 회사의 재고는 상품이고, Manufatoring 회사의 재고는 제품이다. 제조회사의 회계는 BEC 과목의 cost accounting 에서 자세하게 다룬다.
1. Beg. Inv + Purchase Inv = COGS + End. Inv
(기초재고) + (매입) = (팔린 재고) + (기말 재고)
2. 기말재고상품을 계산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.
2-1. 실제재고조사법 Periodic inventory system
기말 또는 일정한 기간마다 실질적으로 남아있는 수량을 파악하는 방법. 기중에는 inventory 계정 대신 purchase 계정으로 표기하고, 결산 시 기중의 분개를 취소하고 실제 수량으로 adjusting 한다.
2-2. 계속기록법 Perpetual inventory system
재고자산의 입고 및 출고상황을 계속적으로 장부에 기록하여 재고자산을 파악하는 방법
3. Incoterms 무역조건
3-1. FOB shipping point : 해상에서 구매자 책임 ex.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 시, 재고는 해상에서 한국 소유
freignt in 조건임 -> Inventory 매입 시 원가와 운송료를 합친 금액이 재고가에 포함된다.
3-2. FOB destination : ex.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 시, 재고는 해상에서 중국 소유
freight out 조건임 -> Inventory 매입 시 운송료가 포함되지 않는다.
3-3. EXW : 공장인도조건
3-4. CFR, CIF : SELLER가 운송비를 부담한다.
3-5. DDP : SELLER 입장에서 가장 타이트한 조건
* purchase return (반품), allowance (하자 등으로 인한 할인) 회계처리 시, AP XXX / Inventory XXX
* terms 2/20, net/30 -> 20일 이내 대금 지급시 2% 할인, 외상기간 30일
consignor 위탁자 consignee 수탁자
위탁 판매 시, 창고업자 또는 백화점의 매출 분개는 아래와 같다. (재고 위험 부담을 제조업자가 짐)
제조업체 |
백화점 |
Sales |
Sales 10 |
COGS |
COGS 0 |
직매입 시, 아래와 같다. (재고위험 부담이 유통업자에게 있는 경우)
제조업체 |
백화점 |
Sales 100 |
Sales 110 |
COGS 90 |
COGS 100 |
* 재고실사 시 백화점 내 재고는 모두 백화점 소유의 재고가 아닐수도 있다.
4. Cost flow assumptions 원가 흐름의 가정
4-1. first in fisrt out (FIFO, 선입선출법)
4-2. last in first out (LIFO, 후입선출법)
4-3. average (평균법)
4-4. 개별법 : 팔린 재고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 (ex. 조선업)
* 아래와 같이 물가가 상승한다는 가정하에, FIFO를 쓰면 COGS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익이 많아지므로 외부 공시할 때 유리하며, LIFO를 쓰면 COGS가 커지는 효과가 있어 이익이 줄어듦으로 세금을 덜 낼 수 있다. IFRS의 경우 LIFO를 인정하지 않으며 US-GAAP은 허용한다. (정유업 로비 때문)
'AICPA 프로젝트 > Accounting Principle 회계 원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4. Property,Plant, Equipment (0) | 2020.09.13 |
---|---|
Chapter 3. Receivables (0) | 2020.09.12 |
Chapter 2. Inventories (2) (0) | 2020.09.06 |
Chapter 1. Accounting Principle 회계 원리 (2) (0) | 2020.08.27 |
Chapter 1. Accounting Principle 회계 원리 (0) | 2020.08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