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CPA 6

Chapter 5. Intangible Assets

아래 내용은 20교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. --- 1. 무형자산의 종류 1-1. Good will(영업권) : 기업의 영업 노하우, 브랜드 인지도 등 장부에 잡히지 않는 무형자산. (기업의 인수합병 과정에서, 인수금액에서 (자산-부채)를 제외하고 더 지불한 프리미엄 금액을 의미한다. ex. 자산 100 부채 80인 기업을 30을 주고 인수했다면 10만큼은 Good will로 인식한다.) 1-2. Development cost(개발비) : A. Research cost (초기 단계의 비용) B. Development cost (후기 단계의 비용) US-GAAP에서는 모두 expense 처리하나, IFRS에서는 초기 비용만 expense 처리하며 개발 비용은 Capitalize 한다. 1-3. Patent..

휴넷 평생교육원 학점은행 등록 후기 (회계원리, 회계감사)

2020-09-15 AICPA를 응시하기 위해서는 회계관련 과목을 최소 5개 이상 수료해야한다. (회계감사 과목은 필수, 나머지는 선택) 나는 비전공자라 대학교 때 관련 과목을 들은적이 없기 때문에, 온라인 학점은행제를 통해 해당 과목을 들어야 한다. AIFA에서 종합반을 등록하면 휴넷의 할인코드를 주기때문에 그냥 여기서 등록했다. 한 번에 5과목을 듣기는 힘들 것 같아서 우선 9월 학기는 2 과목만 등록했다. (보통 한 달마다 열림) 원래 기본 할인가를 적용해서 총 198,000원 (119,000원 + 79,000원) 이였지만 AIFA에서 제공하는 할인 코드를 입력하면 각각 65,000원에 수강할 수 있다.

Chapter 2. Inventories

아래 내용은 7-9 교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. --- Merchandise 회사의 재고는 상품이고, Manufatoring 회사의 재고는 제품이다. 제조회사의 회계는 BEC 과목의 cost accounting 에서 자세하게 다룬다. 1. Beg. Inv + Purchase Inv = COGS + End. Inv (기초재고) + (매입) = (팔린 재고) + (기말 재고) 2. 기말재고상품을 계산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. 2-1. 실제재고조사법 Periodic inventory system 기말 또는 일정한 기간마다 실질적으로 남아있는 수량을 파악하는 방법. 기중에는 inventory 계정 대신 purchase 계정으로 표기하고, 결산 시 기중의 분개를 취소하고 실제 수량으로 adjusting 한다...

Chapter 1. Accounting Principle 회계 원리 (2)

아래 내용은 4-6교시 내용 정리다. --- 1. 수익과 비용을 공시 할 때, 회계에서는 Margin의 개념이 중요하기 때문에, 수익과 비용을 같은 시점에 인식하는 Matching principle을 따른다. (예시) 재료비를 100만큼 지불하고 다음해에 120의 매출을 낸 경우 Year 1 Cash Inv 100 Equity Year 2 Cash 120 Inv Equity 20 I/S Rev 120 Exp 100 Net 20 정확하게 수익과 비용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(e.g. 이자 지급) 다른 방법으로 처리한다. 2. Going concern : 기업이 망하지 않을 것을 가정하고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 (US-GAAP 채택) liquidation : 기업이 망할 것을 가정하고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..

Chapter 1. Accounting Principle 회계 원리

Accounting Priciple(회계 원리)는 시험에 직접적으로 출제되진 않지만, Intermediate Accounting(중급 회계) 수강 전 복습 차원으로 듣기로 했다. 아래 내용은 1-3교시 내용 정리다. (AIFA에서 종합반 수강 시 AP는 무료로 수강 가능하다) --- 1. AP에서 배우는 Accounting은 주로 상기업의 회계를 다룬다. (제조기업의 Accounting 은 BEC(Business Environment&Concepts) 과목의 Cost Accounting에서 주로 다룸) 2. 경영자는 Financing(자금조달) -> Investing(투자) -> Purchasing(구매) -> Sales(판매) -> Distribution(배분)의 과정을 외부에 공시해야 하며, Acco..